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5

[2022-12-27] 사내 TDD 세미나 발표 회고 우아한 테크 캠프 pro 5기 과정을 수료하고 교육 과정중에 습관처럼 사용하던 TDD 개발 방범론에 대해 세미나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우아한 테크 캠프 pro 5기 과정 수료일과 세미나 날짜가 불과 4일 텀이긴 하지만 TDD에 가장 자신 있을 때, 머리속에서 초롱초롱 빛나고 있을 때 회사 내부 구성원들에게 지식을 전파해야겠다 싶어 짧은 텀으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세미나 발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을 주요 사항으로 진행하였습니다 TDD 소개 기존 우리가 개발하는 방식과의 차이 TDD를 도입해야하는 이유 (기대 효과) TDD Live Coding Q & A 세미나는 TDD에 관심 있는 개발자 10여 분 + PM 1분 + CTO 님 총 열 다섯 분 가량 세미나에 참석해주셨습니다 생각보다 관심을 표명해주시는 사내 .. 2022. 12. 28.
[macOS/Intellij/Oracle] ventura 13.0 업데이트 이후 로케일을 인식할 수 없습니다.(SQL Error: 17176) - 해결 Oracle JDBC Driver를 사용하는 개발자라면 언젠가는 한번 만나봤을 법한 상황이다. 보통 위 상황은 Mac Os 업데이트 이후 로케일이 초기화되면서 발생하는데 ventura 13.0 이전 버전에서는 mac 시스템 설정 - 일반 - 언어 및 지역 - 다른 국가로 변경 - 다시 대한민국으로 변경 위 편법으로 쉽게 해결이 가능했다 하지만 이번 ventura 13.0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위 방법이 통하지 않았다. 그래서 실행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jvm option 값을 주어 위 상황을 해결하였다 VM 옵션을 활성화 한 이후 -Duser.language=en -Duser.country=US 값을 넣어준다 vm 옵션 값을 넣어 준 후 서비스를 실행하면 로케일을 인식할 수 없다는 에러는 발생하지 않는다 2022. 11. 8.
[Java] 인수값 유효성 검증 - 표현 계층 vs 응용 계층 서비스를 운영하는 환경에서는 Language와 Framework를 막론하고 Inbound 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유효성 검증에는 인자 값에 대한 검증, 인수 값에 대한 검증, 비즈니스 로직에 대한 검증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유효성 검증이 있다 인자 값에 대한 검증은 왠만한 프레임워크의 표현 계층에서 알아서 수행해주고 비즈니스 로직에 대한 검증은 응용 계층에서 수행하는 것이 지극히 일반적이다 하지만 특히 그 중에서도 인수 값에 대한 검증을 표현 계층에서 하느냐, 응용 계층에서 하느냐에 대한 의견이 다양해서 이번 글에서는 각 계층에서 인수 값에 대한 검증을 가져갔을 때의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해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름'이라는 데이터를 생성할 때, 이름의 글자 수에 대한 유효성 검증.. 2022. 10. 23.
[SpringBoot/Gradle] ClassNotFound Exception (Feat. implementation & api) 개발을 즐기는 우리의 곁에는 운명의 짝꿍과도 같은 존재가 있습니다. 바로 예외(Exception) 입니다 우리에게는 너무 친숙하지만 되도록 마주치고 싶지 않은 NPE(NullPointerException)부터 친절한 IDE 선생님 덕분에 요즘은 마주치기 조차 힘든 ClassNotFoundException까지 다양한 에외 상황들을 인식하고, 대비하며 개발을 이어나갑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중에서도 마주치기 힘들었던 ClassNotFoundException를 만난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먼저 필자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 구조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었습니다. A 프로젝트 -> B 프로젝트 -> C 라이브러리 A 프로젝트.gradle ... implementation(B) ... B 프로젝트.gradle ... i.. 2022. 8. 7.
반응형